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상처 소독약 종류와 사용법(포비돈요오드,과산화수소,알코올,빨간약,투명 소독약)

오늘의 정보

by 채플린과코엔 2025. 2. 11. 00:08

본문

반응형

일명 빨간약, 투명한 소독약, 과산화수소 등 종류와 이름이 다양한 소독제의 차이와 용도, 주의사항에 대해 정리했어요. 
 

로고
안녕하세요, 펭귄극장입니다!

 

소독과 멸균의 구분

상처가 나면 '소독한다'라는 것은 즉각적인 인식인데요.
 
여기서 소독(disinfection)이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한 처치를 의미해요. 상처 회복에 도움을 주는 미생물은 죽이지 않고, 더 나아가 우리 몸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야 하죠.
 
그런데 멸균은 개념이 좀 다릅니다. 멸균(sterilization)은 모든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상처에 사용할 경우 여러 문제를 동반할 수 있어요. 그래서 멸균을 위한 소독제는 주삿바늘 같은 의료기구를 소독하는 데 주로 사용하는 거죠.
 

상처 소독제의 종류 

포비딘, 베타딘, 세네풀, 애니클렌 등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소독제는 다양한데요.
주요 성분이 무엇이냐에 따라 제품이 나뉘지만 효능/효과는 '살균, 소독'이에요. 

소독제
포비돈요오드, 투명스프레이, 알콜스왑

포비돈요오드(포비딘, 베타딘 등) 

일명 빨간약으로 불리는 포비돈요오드용액은 포비돈 분자에서 서서히 방출된 요오드가 살균 효과를 내는데요. 곰팡이, 바이러스, 세균류 등 거의 모든 병원균과 미생물을 살균합니다. 피부자극이 적고 살균 효과가 오래가는 특징이 있어요.
 
소독약이 마를 정도로 시간이 지나면 본격적인 살균효과가 나타나고, 용액이 묻어있는 동안 효과가 지속됩니다. 그러니 용액을 바르고 바로 닦아내면 충분한 소독효과를 볼 수 없어요. 
 
단, 요오드는 소량이라도 기초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호르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장기간, 다량 사용 시 색소침착, 피부변색의 우려도 있어요. 
 
포비돈요오드를 사용해선 안 되는 경우
임산부, 수유 중인 엄마, 신생아, 6개월 미만의 영아, 갑상선기능이상환자, 신부전환자,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후에는 사용해선 안 됩니다. 
 

무색무취 소독제(세네풀, 애니클렌, 누보클렌 등) 

포비돈요오드와 달리 투명한 무색무취 소독약은 살균, 소독, 지혈효과, 통증 감소 등의 효과를 내는 성분들이 4~5가지(클로드헥시딘글루콘산염, 알란토인, 벤잘코늄염화물액 등) 섞여있는 소독제예요. 바르거나 뿌리는 형태인데요.
 
착색의 우려가 없고 따갑지 않은 특징이 있어요.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는 활성산소를 이용해 소독효과를 발휘하는 소독제인데요. 상처에 과산화수소를 바르면 하얀 거품이 일어나 시각적으로도 치료효과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이 활성산소가 피부를 강하게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기도 해요. 
 
과산화수소수의 강한 자극은 피부를 손상시키기도 하고 상처회복에 중요한 세포를 손상시켜 치유 속도를 오리혀 늦추기도 해요. 
 
과거엔 과산화수소가 소독제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이런 단점 때문에 상처소독제로는 잘 사용되거나 권장되지 않아요.
*살균, 소독을 위해 세탁할 때 많이 쓰이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산화수소로 상처를 소독하고자 한다면 상처부위에만 소량 사용하고, 상처를 소독하면 반응이 끝날 때까지 충분히 기다렸다 대일밴드나 메디폼을 붙여야 해요. 
 

상처에 쓰면 안 되는 소독제

소독용 에탄올

소독용 에탄올이 쓰이는 가장 흔한 예는 주사 놓기 전 피부를 닦을 때, 귀를 뚫을 때예요. 
소독용 에탄올은 세포 내 단백질을 변성시켜 세포를 죽여버리는 작용을 하는데요. 상처에 사용하면 피부조직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요. 
 
소독용 에탄올은 핸드폰처럼 자주 쓰는 물건을 소독할 때 사용하면 좋아요.
 
 


드레싱밴드 종류

메디폼, 듀오덤, 대일밴드, 드레싱밴드 사용법(진물,딱지,흉터)

메디폼, 듀오덤, 대일밴드, 드레싱밴드 등 다양한 종류의 드레싱밴드 사용법과 진물, 딱지, 흉터 등 상처 치료에 대해 정리했어요.   드레싱밴드란 드레싱밴드는 상처를 보호하는 용도로 붙이

20190722.tistory.com

전문의, 일반의 병원

동네병원 전문의와 일반의 간판 구분 방법(ft.진료과목)

전문의와 일반의의 차이점, 우리 동네 병원 의사가 일반의인지 전문의인지 간판으로 쉽게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어요. 전문의와 일반의 차이감기나 장염, 눈의 실핏줄이 터지거나 피부에

20190722.tistory.com

의원과 병원의 차이

병원의 종류 의원과 병원 차이, 전문병원, 상급종합병원 의미

의원과 병원의 차이와 종류, 보건복지부 지정병원인 전문병원, 상급종합병원 의미에 대해 정리했어요. 병원의 구분 의원, 병원, 전문병원, 치과병원, 종합병원 등 병원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이

20190722.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