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 좋고 고소한 맛이 일품인 참기름과 들기름의 차이, 효능, 보관 방법, 가열 요리 시 주의점 등에 대해 정리했어요.
참기름과 들기름은 모두 깨로 만든 기름이에요. 참기름은 참깨, 들기름은 들깨로 만들죠.
참기름과 들기름은 나물이나 무침 요리, 비빔밥에 쓰이고 색도 비슷해요. 하지만 두 기름은 확연히 다른 맛과 향만큼 영양성분과 효능, 보관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어요.
참깨와 들깨는 깨알 크기가 달라요. 참깨가 더 길고 굵죠.
우리가 즐겨 먹는 깻잎은 들깻잎이에요. 참깻잎은 써서 쌈채소로 먹기 어렵다고 해요.
참기름의 대표적인 효능은 항산화작용이에요.
참기름에 함유된 영양성분은 세균,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물질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오메가-6(리놀레산), 불포화지방산 오메가-9(올레산), 암 예방, 동맥경화, 뇌졸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황산화물질 리그난이 풍부해요.
들기름은 오메가-3(알파리놀렌산)이 가장 많은 기름으로 항염증, 항비만, 혈관, 두뇌 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해요.
참기름은 실온보관합니다.
참기름은 공기에 노출되면 산패가 촉진될 수 있어 반드시 뚜껑을 닫아 보관하고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짙은 색 병에 담거나 신문지나 호일 등으로 감싸 보관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대학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25도 정도의 어두운 곳에 보관하고 3개월마다 신선도를 관찰했는데 9개월 차에 산패가 시작됐다고 해요.
들기름은 냉장보관합니다.
농촌진흥청 조사에 의하면 섭씨 4도에서 보관한 들기름은 40주가 지날 때까지 품질이 변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러나 상온에 보관하면 빠르게 상합니다. 들기름에 풍부한 오메가 3가 산패하면 체내 활성산소가 증가해 염증과 암세포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하니 반드시 냉장보관해야 해요.
요리에 사용하는 기름은 모두 발연점을 갖고 있어요. 기름이 발연점에 도달하면 발암물질인 벤토피렌이 발생한다고 해요.
기름마다 발연점이 다른데요. 해바라기유 250℃, 포도씨유 240℃, 콩기름 210℃, 올리브유 180~200℃, 참기름·들기름 170~180℃예요.
그래서 참기름, 들기름을 고온으로 조리하면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열을 가하는 요리에 사용한다면 저온에서 재빨리 볶는 것이 좋고, 탕이나 찜 요리에 사용한다면 완성된 후 불을 끈 상태에서 첨가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전을 부치거나 두부를 구울 때 참기름이나 들기름을 사용하면 고소함이 배가되는데요. 이런 경우 발연점이 높은 기름과 섞어 쓰는 것이 안전하다고 해요.
나물무침, 샐러드, 비빔국수, 비빔밥 같은 요리엔 당연히 안심하고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올리브오일 종류
올리브오일 등급, 종류(엑스트라버진,버진,퓨어,포마스,유기농인증마크)
올리브오일의 등급(엑스트라버진, 버진, 퓨어, 포마스, 람판테)과 종류, 좋은 올리브유 구분 방법, 유기농인증마크에 대해 정리했어요. 올리브오일 등급, 종류올리브오일에는 5가지 등급이 있
20190722.tistory.com
우유 등급 기준
우유 등급 기준과 의미(체세포수, 1등급, 1A등급, A2)
우리 곁의 완전식품 우유의 등급 기준(세균수, 체세포수)과 종류(1등급, 1A 등급)를 알기 쉽게 정리했어요. 우유의 효능, 효과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완전식품이자 건강식품은 바로 우유죠. 우
20190722.tistory.com
좋은 달걀 고르기
계란 등급과 난각 번호(1등급과 난각번호1,2 좋은 달걀 구분 방법)
몸에 좋은 먹거리를 위해 동물복지 인증달걀을 찾다가 상표에 있는 1+등급 표시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 계란을 나누는 기준이 일원화되지 않아 헷갈리는데요, 정확한 구분법에 대해 정리했
20190722.tistory.com
곰탕과 설렁탕 차이 (ft.소머리국밥,따로국밥) (0) | 2025.03.04 |
---|---|
대한민국 제과제빵 명장 리스트(2024년 10월, 17명) 가짜 명인, 달인에 속지 말자 (18) | 2024.10.09 |
참치액과 멸치액젓(차이,용도,사용법,까나리액젓) (0) | 2024.08.11 |
멸균우유 총정리(유통기한,장점,단점,맛,보관,수입우유 ft.유당불내증) (1) | 2024.06.09 |
A2우유와 락토프리(뜻,효능,원리,맛,장단점 ft.유당불내증,배앓이) (0) | 2024.06.08 |